소재 산업 글로벌 정책 및 R&D 투자 동향

Materials Industry Global Policy and R&D Investment Trends


                                       by Sang Kwuon Han, trimaran, 2024.05.31



첨단 소재의 중요성 및 주요 트렌드


 첨단 소재는 산업 혁신의 핵심 요소로, 지속 가능성, 경량화, 3D 프린팅 등 다양한 산업 수요에 대응합니다. 주요 트렌드로는 지속 가능한 소재, 

고반응 스마트 소재, 나노 소재, 적층 제조 기술, 경량화 소재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각각의 특성을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효율성과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주요국 소재 분야 정책 및 R&D 투자 특징

 주요국은 첨단 소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 연구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 독일, EU, 중국 등은 기술 혁신, 

산업 경쟁력 강화, 국가 안보를 위해 소재 R&D에 대규모 투자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나노기술, 신소재, 반도체, 배터리 등 핵심 분야에 예산을 

투입하며, 지속 가능성, 디지털 전환,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by Jihyun Heo, trimaran, 2024.01.29


위성정보는 인공위성에서 획득한 영상, 음성, 음향,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처리된 정보를 의미한다. (우주개발진흥법) 이러한 정보는 지도제작, 환경, 농업, 기상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위성은 활용 목적에 따라 지구관측위성, 통신

위성, 항법위성, 기상위성, 군사위성, 과학위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의 위성개발을 통해 자체적으로 구축한 위성을 운영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총 130기의 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다. 이러한 위성의 증가로 획득할 수 있는 위성정보의 양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국내 다목적실용위성의 영상 획득량은 누적 기준, 2013년 243만장에서, 2017년 443만장, 2022년 773만장으로 크게 증가하였다(위성정보활용종합계획 시행계획)


위성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가치사슬(Value chain)의 여러 단계를 거쳐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특정 정보·제품이 된다. 예를 들어, 원격탐사위성은 위성의 운영, 위성영상의 수신 및 처리의 운영 단계, 위성정보의 저장과 배포의 공급 단계, 공급된 위성영상 기반의 1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 단계, 위성영상 기반 부가가치서비스를 제공하는 활용단계로 구분된다.


위성의 특성에 따라 환경, 에너지, 식량안보, 재난대응, 해양,임업, 농업, 기상 및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 분야 해결을 위한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안정 및 R&D 디지털화

 코로나19 팬데믹과 무역 갈등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주요국은 소재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재료 R&D의 디지털화는 효율성과 효과를 개선하며, AI, 빅데이터 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 등의 통합을 통해 신소재 개발과 데이터 공유, 공동 연구를 촉진합니다. 

우리나라도 전략 분야 선정을 통한 투자와 범부처 R&D 조정기구 설립이 필요하며, 재료 연구에 첨단 디지털 기술 채택, 디지털 인프라, AI, 빅데이터 분석 등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최근 (초)소형 군집위성 (Constellation)의 

등장, 위성정보와 AI, 빅데이터 등의 첨단기술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위성정보는 전지구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시공간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특성이 있다. 지구 표면, 기상 및 기후, 기타 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획득 측면에서 위성 정보는 주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군집위성은 특정 지역의 준실시간 정보 획득이 가능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고해상도 위성개발은 육안으로도 대상을 식별가능한 수준에 와있으며, 첨단기술과의 융합으로 위성정보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는 이미 AI 및 빅데이터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수요자 맞춤형의 정보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는 첨단기술 기반 위성영상 분석기술 개발을 위한 위성영상 AI 학습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중위성 시대를 맞이하여 위성활용의 범위 확대 및 관련 기술이 활발히 개발될 전망이다.


지난 2023년 5월, 실위성 8기가 실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발사 성공은 국내 우주산업이 본격적인 우주개발 시대를 맞이했음을 의미한다. 해외에서는 위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나, 위성영상을 전문적으로 분석하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등장하여 서비스 중이다. 


국내 또한 운용 위성이 증가될 예정으로, 향후 위성정보를 활용한 분석서비스 전문 기업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 소재 분야 정책 동향 요약>

구분

미국

일본

독일

EU

중국

우선순위

분야

나노기술

신소재

반도체

소재기술의 디지털화

지속가능발전, 친환경수소, 나노, 양자 등

생명공학,

나노기술 관련 첨단소재

신소재(희토류)
반도체 소재

협력

기회

나노/소재

분야 다기관 협력

산학연 연구 협력,

 JST 및 NEDO와의 파트너십

첨단 기술 분야
부문 간 협력

회원국 간
연계

정부 부처 중심
협력 추진

정부 인센티브

R&D

세금 공제 및 보조금

국책과제를 통한 데이터 기반 R&D 지원

기술이전
자금조달

신소재 상용화

EU차원의

핵심전략기술지원금

신소재 개발 및
상업화 지원

규제환경

공급망 보안조치

산학연 협력의
강력한 거버넌스

지속가능한
경제실현,

양자 및 나노기술 개발 

프레임워크

기술 독립과 공급망 

보안 보장

신소재

자원 수출규제

주요 정책 및 프로그램

NNI

MGI

EO14017

Material DX 플랫폼

ARIM(Advanced Materials Research Infra Project)

하이테크 전략 2025

소재에서 혁신까지

Hoizon Europe

첨단소재 2030 이니셔티브

14차 5개년 계획

신소재 응용 시범
지침 목록

주요 목표

나노기술강화

신소재 발견
국내 공급망 강화

소재 데이터 활용
선도, 소재 연구
인프라 개선

지속가능성 첨단
소재 솔루션
리더쉽 확보

소재 분야 EU
경쟁력 강화,

첨단소재 기술
주도권 확보

자원주권확보

신소재 시장 선도

 



                    Please send e-mail below to inquire about our work    trimaran3@trimaran.co.kr